-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개방형 실험실
사업단소식
more
- [고려대학교구로병원] 2021년 개방형 실험실 참여 기업 모집 공고
- 2021-01-11
보건산업 분야의 우수한 창업·사업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창업기업 및 중소·벤처기업의 전임상·임상 등 사업화 단계의 허들을 극복하기 위해 병원의 우수한 연구자원(인력, 연구장비, 노하우 등)을 지원하는 2021년『개방형 실험실 구축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아래와 같이 모집 합니다.
신청기간 및 방법
신청기간 : 2021년 1월 11일(월)~1월 20일(수) 16시까지
신청방법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 https://kumc.hbic.or.kr/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연구중심병원 홈페이지 http://guro.kumcrnd.or.kr/main/index.do
참가신청서 다운로드 후 작성
제출방법 : E-mail 제출 (spjun21@naver.com / danbi.kumc@gmail.com)
제출서류 : 참가신청서(붙임1) 1부
사업계획서(붙임2) 1부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및 신용조회 동의서(붙임3) 1부
동영상 1부 ※ PPT 동영상(5분 분량, wmv파일, PPT 쇼녹화 기능 등 활용 (슬라이드 화면과 사업신청자 설명))
※사업자등록증 1부(기창업자에 한함)
- 더보기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고대구로병원, ‘스마트 헬스케어’ 심포지엄 성료(2020.12.04)
- 2020-12-10
[데일리메디 박대진 기자]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사업단장 송해룡)이 최근 서울 코엑스에서 ‘2020 디지털 치료제 및 스마트 헬스케어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국제 치매 포럼인 ‘디멘시아포럼엑스(DFx) 코리아’와 함께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오픈이노베이션 및 디지털헬스케어 관련 다양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 현황에 대한 정보가 공유됐다.
심포지엄은 △인지장애 진단과 스마트헬스케어 △근골격계 진단과 디지털 치료 △만성질환 스마트 헬스케어 등 총 3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송해룡 단장은 “앞으로도 산학연병 공동연구회를 통한 창업혁신사업 발굴 및 육성, 의료분야 창업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사업화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데일리메디: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63596&thread=22r02]- 더보기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 ‘2020 디지털 치료제·스마트 헬스케어 심포지엄’ 성료(2020.12.03)
- 2020-12-10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제공, 디지털 치료제 및 스마트 헬스케어 심포지엄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사업단장 송해룡)이 지난 11월 25일(수) 서울 코엑스에서 주관·개최한 ‘2020 디지털 치료제 및 스마트 헬스케어 심포지엄(Digital Therapeutics Symposium)’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국제 치매 포럼인 ‘디멘시아포럼엑스(DFx) 코리아’와 함께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의료진을 비롯한 의료 전문가,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개발 전문가 등이 참석해 오픈이노베이션 및 디지털헬스케어와 관련된 다양한 디지털 치료제의 개발 현황에 대해 고견을 나눴다.
오프닝 영상과 고려대의료원 김영훈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의 축사로 시작된 심포지엄은 3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인지장애 진단과 스마트헬스케어’ 주제로 개최된 세션1에서는 ▲치매와 뇌졸중을 위한 디지털 치료예방(고려대 구로병원 신경과 김치경 교수), ▲MMSE 진단과 뇌활력 스포테인먼트(오썸피아 조종민 매니저) ▲비대면 치매 예방/개선용 인지훈련 및 웨어러블디바이스 기반 안진/건강관리 솔루션(시투몬스터 최진성 대표)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근골격계 진단과 디지털 치료’ 주제로 진행된 세션2에서는 ▲만성질환에서의 근감소증(고려대 구로병원 신장내과 고강지 교수), ▲근감소증에 대한 디지털진단과 치료제(고려대 구로병원 재활의학과 윤준식 교수), ▲마이데이타와 환자중심 의료서비스(빅데이타융합사업단/데이타체인즈 이영환 교수)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세션3에서는 ‘만성질환 스마트 헬스케어’를 주제로 ▲심혈관질환을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박창규 교수), ▲만성질환과 스마트 헬스케어(고려대 구로병원 가정의학과 김선미 교수), ▲스마트에프터케어 디지털치료(메디플러스 박희준 이사), ▲인공지능기반 안질환 및 만성질환 위험도 예측 진단보조 시스템(유엠아이옵틱스 김동관 대표) 등의 분야에 대한 최신지견을 나눴다.
송해룡 단장은 인사말에서 “디지털 의료산업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의 디지털 기술과 의료의 융합을 통해 5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미래 먹거리로 급부상하고 있다”며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심포지엄을 개최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앞으로도 고려대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은 산학연병 공동연구회를 통한 창업혁신사업 발굴 및 육성, 의료분야 창업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사업화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은 스웨덴 왕실의 후원으로 설립된 스웨덴 치매 국제기구 ‘SCI(Swedish Care Internaional)’가 출범시킨 국제 포럼 ‘디멘시아포럼엑스(DFX) 코리아’의 관련 행사로 진행됐다. 매 2년마다 스웨덴 스톡홀름 왕궁에서 개최하던 포럼이 2018년 일본에 이어 올해 한국에서 열렸다.
임혜정 기자 webmaster@healthinnews.co.kr
[헬스인뉴스: http://www.health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534]
- 더보기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고려대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 '2020 디지털 치료제·스마트 헬스케어 심포지엄' 성료(2020.12.03)
- 2020-12-10
[빅데이터뉴스 이경호 기자]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이 지난달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주관·개최한 ‘2020 디지털 치료제 및 스마트 헬스케어 심포지엄(Digital Therapeutics Symposium)’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국제 치매 포럼인 ‘디멘시아포럼엑스(DFx) 코리아’와 함께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의료진을 비롯한 의료 전문가,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개발 전문가 등이 참석해 오픈이노베이션 및 디지털헬스케어와 관련된 다양한 디지털 치료제의 개발 현황에 대해 고견을 나눴다.
오프닝 영상과 고려대의료원 김영훈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의 축사로 시작된 심포지엄은 3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인지장애 진단과 스마트헬스케어’ 주제로 개최된 세션1에서는 ▲치매와 뇌졸중을 위한 디지털 치료예방(고려대 구로병원 신경과 김치경 교수), ▲MMSE 진단과 뇌활력 스포테인먼트(오썸피아 조종민 매니저) ▲비대면 치매 예방/개선용 인지훈련 및 웨어러블디바이스 기반 안진/건강관리 솔루션(시투몬스터 최진성 대표)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근골격계 진단과 디지털 치료’ 주제로 진행된 세션2에서는 ▲만성질환에서의 근감소증(고려대 구로병원 신장내과 고강지 교수), ▲근감소증에 대한 디지털진단과 치료제(고려대 구로병원 재활의학과 윤준식 교수), ▲마이데이타와 환자중심 의료서비스(빅데이타융합사업단/데이타체인즈 이영환 교수)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세션3에서는 ‘만성질환 스마트 헬스케어’를 주제로 ▲심혈관질환을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박창규 교수), ▲만성질환과 스마트 헬스케어(고려대 구로병원 가정의학과 김선미 교수), ▲스마트에프터케어 디지털치료(메디플러스 박희준 이사), ▲인공지능기반 안질환 및 만성질환 위험도 예측 진단보조 시스템(유엠아이옵틱스 김동관 대표) 등의 분야에 대한 최신지견을 나눴다.
송해룡 단장은 인사말에서 “디지털 의료산업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의 디지털 기술과 의료의 융합을 통해 5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미래 먹거리로 급부상하고 있다”며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심포지엄을 개최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앞으로도 고려대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은 산학연병 공동연구회를 통한 창업혁신사업 발굴 및 육성, 의료분야 창업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사업화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은 스웨덴 왕실의 후원으로 설립된 스웨덴 치매 국제기구 ‘SCI(Swedish Care Internaional)’가 출범시킨 국제 포럼 ‘디멘시아포럼엑스(DFX) 코리아’의 관련 행사로 진행됐다. 매 2년마다 스웨덴 스톡홀름 왕궁에서 개최하던 포럼이 2018년 일본에 이어 올해 한국에서 열렸다.
‘새로운 희망(New Hope for Dementia)’이라는 주제로 열린 DFX포럼은 대한민국 치매 산업의 도약을 위한 글로벌 최신 동향 정보와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5G 강대국인 대한민국의 디지털 의료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장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경호 빅데이터뉴스 기자 news@thebigdata.co.kr[빅데이터뉴스: http://cnews.thebigdata.co.kr/view.php?ud=202012030935178299798818e98b_23]
- 더보기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고려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 '스마트 헬스케어 심포지엄' 성료(2020.12.03)
- 2020-12-10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사업단장 송해룡)이 지난 11월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주관·개최한 '2020 디지털 치료제 및 스마트 헬스케어 심포지엄(Digital Therapeutics Symposium)'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국제 치매 포럼인 '디멘시아포럼엑스(DFx) 코리아'와 함께 개최된 이번 심포지엄에는 의료진을 비롯한 의료 전문가, 디지털 헬스케어 기기개발 전문가 등이 참석해 오픈이노베이션 및 디지털헬스케어와 관련된 다양한 디지털 치료제의 개발 현황에 대해 고견을 나눴다.
오프닝 영상과 고려대의료원 김영훈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의 축사로 시작된 심포지엄은 3개의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인지장애 진단과 스마트헬스케어' 주제로 개최된 세션1에서는 ▲치매와 뇌졸중을 위한 디지털 치료예방(고려대 구로병원 신경과 김치경 교수), ▲MMSE 진단과 뇌활력 스포테인먼트(오썸피아 조종민 매니저) ▲비대면 치매 예방/개선용 인지훈련 및 웨어러블디바이스 기반 안진/건강관리 솔루션(시투몬스터 최진성 대표)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근골격계 진단과 디지털 치료' 주제로 진행된 세션2에서는 ▲만성질환에서의 근감소증(고려대 구로병원 신장내과 고강지 교수), ▲근감소증에 대한 디지털진단과 치료제(고려대 구로병원 재활의학과 윤준식 교수), ▲마이데이타와 환자중심 의료서비스(빅데이타융합사업단/데이타체인즈 이영환 교수) 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세션3에서는 '만성질환 스마트 헬스케어'를 주제로 ▲심혈관질환을 위한 스마트 헬스케어(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박창규 교수), ▲만성질환과 스마트 헬스케어(고려대 구로병원 가정의학과 김선미 교수), ▲스마트에프터케어 디지털치료(메디플러스 박희준 이사), ▲인공지능기반 안질환 및 만성질환 위험도 예측 진단보조 시스템(유엠아이옵틱스 김동관 대표) 등의 분야에 대한 최신지견을 나눴다.
송해룡 단장은 인사말에서 "디지털 의료산업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의 디지털 기술과 의료의 융합을 통해 5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미래 먹거리로 급부상하고 있다"며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심포지엄을 개최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앞으로도 고려대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은 산학연병 공동연구회를 통한 창업혁신사업 발굴 및 육성, 의료분야 창업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사업화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은 스웨덴 왕실의 후원으로 설립된 스웨덴 치매 국제기구 'SCI(Swedish Care Internaional)'가 출범시킨 국제 포럼 '디멘시아포럼엑스(DFX) 코리아'의 관련 행사로 진행됐다. 매 2년마다 스웨덴 스톡홀름 왕궁에서 개최하던 포럼이 2018년 일본에 이어 올해 한국에서 열렸다.
'새로운 희망(New Hope for Dementia)'이라는 주제로 열린 DFX포럼은 대한민국 치매 산업의 도약을 위한 글로벌 최신 동향 정보와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5G 강대국인 대한민국의 디지털 의료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장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매디파뉴스: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67826&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 더보기
-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코로나19도 치매 극복 도전 못 막았다(2020.11.19)
- 2020-12-10
2020년은 치매 환자와 가족에게 명암이 극명하게 교차한 해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환자는 이중 고통을 받았다. 요양 보호 서비스가 축소되거나 중단되기까지 했기 때문이다.
26일 코엑스 D홀서 ‘디멘시아포럼엑스 코리아’
스웨덴서 시작된 세계 3대 국제 치매 컨퍼런스
정책·진단·예방·치료·케어 5개 분야 성과 소개
25~27일 코엑스 D홀선 다양한 부대행사도그러나 치매 극복을 위한 도전은 멈추지 않았다. 세계적 제약사조차 두 손 들었던 치료제 개발에서 새로운 성과가 잇따랐다. 최근엔 약물뿐 아니라 정보기술(IT)과 로봇을 활용한 치료기법도 선보이고 있다.
치매는 조기 진단이 어렵다는 통념을 깨고 타액이나 빅데이터로 일찍 진단할 수 있는 기법도 나왔다. 식이요법과 근육운동 및 인지 훈련을 활용해 치매를 예방하는 프로그램도 효과를 보고 있다. 치매 환자와 가족을 위한 집과 가구 디자인도 달라지고 있다.25~27일 서울 코엑스 D홀에서 열리는 국제 치매 포럼인 ‘디멘시아포럼엑스(DFx) 코리아’와 대한민국 치매의료산업박람회에서 이 같은 치매 극복의 새로운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올해 어젠다도 ‘새로운 희망(New Hope)’이다.
DFx는 2015년 스웨덴 치매 국제기구인 ‘SCI(Swedish Care International)’가 출범시킨 국제 포럼이다. 스웨덴 왕실 후원으로 설립된 SCI는 매 2년마다 수도 스톡홀름 왕궁에서 DFx를 개최하다 2018년 일본에 이어 올해 한국에서 연다.
포럼은 크게 5개 세션으로 온라인 홈페이지(k-dementia.com)를 통해 영어와 한국어로 무료 생중계한다. 현장 참관은 코로나 방역 때문에 초청자만 가능하다. 치매 부부 이야기를 다룬 영화 ‘로망’의 주인공 이순재씨와 정영숙씨는 물론 치매 홍보대사인 배우 박철민씨도 축하 메시지를 전한다.
◇정책=국가가 치매 환자를 책임진다는 ‘국가치매책임제’를 다룬다. 국제알츠하이머병협회(ADI) 파올라 바바리노 최고경영자(CEO)가 세계적 트렌드를 소개하고, 중앙치매센터 서지원 부센터장이 한국의 정책을 설명한다. 충남광역치매센터 이석범 센터장은 광역치매센터의 역할을 강연한다.
◇진단=EDGC의 이민섭 대표가 타액만으로 치매 유전자를 찾아내는 유전자 분석 기술을 소개한다. 조선대 이건호 교수는 지난 8년 동안 모아온 60세 이상 주민 1만여명의 생체의료 빅데이터로 치매를 조기 진단하는 기술을 선보인다.
◇예방=식이요법과 운동 및 학습을 통해 치매를 예방하거나 증세 악화를 지연시키는 프로그램을 다룬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대학의 미아 키비펠토 교수가 스웨덴과 핀란드에서 2012년 시작한 ‘핑거(FINGER)’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카롤린스카대는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를 선정하는 기관이다. 국내에선 인하대 최성혜 교수가 한국 상황에 맞게 적용한 ‘슈퍼브레인’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이대목동병원 김건하 교수는 여기에 로봇을 접목했다.
◇치료=SCI의 페트라 태그먼 CEO가 스웨덴의 사람 중심 돌봄 서비스를 소개한다. 알츠하이머병의 세계적 권위자인 필립 쉘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 알츠하이머센터장이 최근 치료제 개발 현황을 정리한다. 특히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신약 허가를 놓고 논란이 벌어진 미국 바이오젠의 치료제 ‘아두카누맙’과 중국에서 개발 중인 ‘GV 971’은 물론 한국의 젬백스앤카엘이 개발하고 있는 ‘GV1001’까지 다룰 예정이다. 특히 GV1001은 지난 14일 대한치매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도 성공적인 임상 2상 시험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쉘튼 교수는 의료 전문가 및 기관 순위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엑스퍼트스케이프’에서 알츠하이머 전문 지식인 분야 세계 6위로 선정됐다.
약물 말고도 IT기술을 활용한 치료 기법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고려대 구로병원 개방형실험실을 맡고 있는 송해룡 교수는 다양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같은 병원 송재준 교수는 소리를 이용해 뇌에서 나온 10번째 신경인 미주신경을 자극하는 방법으로 뇌를 활성화하는 기술을 선보인다.
◇케어=이케아의 디자인을 총괄하고 있는 브릿 몬티 레인지 디자인 리더가 시니어를 위한 가구인 ‘옴텡크삼’ 컬렉션을 선보인다. 바야다의 알렉산드라 오거스틴 국제 디렉터는 전문 간호 인력을 활용한 환자 지원 서비스를 소개하고, 바디프렌드 메디컬 R&D센터 민아란 실장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스트레스 관리 기법을 설명한다. 싱가포르대 펑레이 교수는 버섯과 차의 치매 예방 효과를 설명한다. 리브레인 이규수 연구개발소장은 영어 학습을 활용한 두뇌 활성화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부대행사=25~27일 코엑스 D홀에선 대한민국 치매의료산업박람회가 3일간 열린다. 홈페이지(k-dementia.com)에서 사전등록하면 무료 관람할 수 있다. 행사장 메인 무대에선 25일 고대구로병원이 주관하는 ‘디지털 치료제와 스마트 헬스 케어’ 심포지엄이, 27일엔 무역협회와 DFx 사무국이 공동 주관하는 ‘한-스웨덴 바이오스타트업 피칭데모데이’ 행사도 열린다. 박람회를 주관한 에코마이스 홍회진 대표는 “앞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 치매 포럼으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서지명 기자 seo.jimyeong@joongang.co.kr
◇디멘시아포럼엑스(DFx) 코리아
장소 : 서울 코엑스 D홀
시간 : 11월 26일 오전 10시~오후 5시
홈페이지 : k-dementia.com
◇부대행사
25~27일 : 대한민국 치매의료산업박람회
25일 : 디지털 치료제와 스마트 헬스 케어 심포지엄
27일 : 한-스웨덴 바이오스타트업 피칭데모데이[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924473]
- 더보기